2019.10.13 수정사항.
아! 이 게시물은 bash에서 실행됨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아래에 필요한 id_rsa.pub 키는 터미널에
$ ssh-keygen
을 입력하신 뒤, 모두 기본설정으로 하신 뒤에 진행하셔야 정상적으로 따라하실 수가 있습니다. (중간에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만, 설정하셔도 되고 안 하셔도 됩니다. 설정하면 ssh 접속시 비밀번호를 물어볼 수도 있습니다.)
======================================================================
보통은 개발을 하면서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여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과정엔 ssh 가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이 되죠? 하지만 접속하는 과정에서 유저명이며, 서버명이며 외울게 많아서 좀 편하게 접속을 하기 위해 아는 형한테 배워둔게 있습니다. 정말 편리한 기능인데, 매번 까먹어서 적어둡니다.
보통은 ssh 접속을 할 때,
$ ssh username@server.com
또는 AWS의 경우
$ ssh -i mypemkey.pem username@server.com
이렇게 접속을 하곤 합니다. 그러면 아마 비밀번호를 물을 것이고, 비밀번호를 쳐야만 정상적으로 원격 접속을 할 수 있게 되죠.
AWS EC2 같은 경우에는 (도메인을 따로 설정해주지 않았을 경우) 서버 명이 너무 길어서! 처음 AWS를 접하시는 분들에게는 접속 자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도메인이 있다고 하더라도 치기가 귀찮을 때가 있지만요..
그래서 약간의 세팅을 통해 ssh 통신을 조금 더 간단하게 하려고 합니다. 서버 컴퓨터에 제 컴퓨터의 지문(id_rsa.pub)같은 것을 등록해서 별도의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도록 하려고 합니다.
1. 로컬 컴퓨터에서 id_rsa.pub 값을 읽어옵니다.
$ cat ~/.ssh/id_rsa.pub
그러면 다음 줄에
ssh-rsa 어쩌구 저쩌구
하면서 해석할 수 없는 문자열이 나오는데요, 그것이 자신의 로컬 컴퓨터의 지문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ssh-rsa를 포함한 문자열 모두 복사해 두세요. 이 지문을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여 등록을 해줄거에요!
2. 등록하고자 하는 컴퓨터에 접속합니다.
$ ssh username@server.com
일단 패스워드를 입력해 접속을 해주세요.
3. 그럼 해당 유저의 홈 디렉토리(~)로 오게 되는데요. 거기서,
$ vi ~/.ssh/authorized_keys
를 치시고, i 를 눌러 수정 모드로 바꾼 뒤, 복사한 id_rsa.pub 값을 첫 줄에 붙여넣기 합니다.
그리고 esc를 누른뒤 :wq 를 입력하여 저장 후 빠져나와 주세요. 그럼 지문 등록 끝!
4. 그리고 로컬 컴퓨터에서,
$ vi ~/.ssh/config
를 하여 ssh configuration 파일을 수정할 겁니다. 역시 i 를 눌러 수정 모드로 바꾼 뒤,
5. 아래와 같은 포맷으로 추가해주세요.
Host (서버에 붙여주고 싶은 이름)
Hostname (서버 주소)
User (유저 이름)
Port (포트 번호, 작성하지 않으면 ssh 기본 포트인 22로 연결합니다.
보통의 경우 이 정도만 필요할 것이구요, 위의 포맷의 예를 들자면,
Host strawberry
Hostname ec2-123-123-123-123.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User ubuntu
이런식으로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esc 후 :wq 로 저장 후 빠져나와 주세요.
** 이런 포맷으로 여러 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Host strawberry
Hostname ec2-123-123-123-123.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User ubuntu
Host grape
HostName server.com
User hellonero
이런 식으로요!
6. 이제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ssh 접속이 가능할 겁니다.
$ ssh strawberry
strawberry 자리에는 여러분이 설정한 서버의 이름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마치 strawberry라는 컴퓨터에 접속한다는 것처럼 직관적이고 편리합니다!
모두 즐거운 개발되세요!
'개발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미널에서 명령어(단축키) 만들기 (0) | 2019.01.27 |
---|---|
[Mac Terminal] 유용한 터미널 명령어 정리 1 (0) | 2019.01.26 |